65세 이상 어르신이라면 대부분이 받고 계신 기초연금, 앞으로 큰 변화가 예고되고 있습니다.
정부는 2026년부터 기초연금을 40만 원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며, 이와 동시에 수급 연령을 70세로 높이고 대상 범위도 축소하는 개편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.
이러한 변화가 실제로 시행된다면, 누가 받을 수 있고 누가 제외되는지, 지금 받고 있는 사람은 계속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한 점이 많아질 수밖에 없습니다.
지금부터 기초연금 제도는 앞으로 어떻게 바뀌는지, 내가 계속 수급 대상이 될 수 있는지 하나씩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❓ Q1. 기초연금 40만원 지급, 언제부터 시행되나요?
정부 발표에 따르면 2026년부터 저소득 어르신을 대상으로 기초연금 40만원이 지급되고, 2027년부터는 소득 하위 70% 전체로 확대될 예정입니다.
📍예상 추진 일정
– 2026년: 저소득 노인에게 우선 지급
– 2027년: 소득 하위 70% 전체 확대
❓ Q2. 기초연금 받으려면 나이와 소득 조건이 어떻게 달라지나요?
현재는 65세 이상이면서 소득 하위 70% 이하면 받을 수 있지만, 제도 개편 시 아래와 같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.
🔸 변경 예상 사항
– 수급 연령: 현재 65세 → 단계적으로 70세까지 상향 예정
– 소득 기준: 소득 하위 70% → 하위 40%로 축소될 가능성
이는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한 국가 재정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분석됩니다.
❓ Q3. 왜 기초연금 개혁이 필요하다고 하나요?
정부와 국회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기초연금 개혁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합니다.
– 고령 인구 증가: 2024년 노인 인구 20% → 2050년엔 70% 도달 가능성
– 수급자 급증: 2014년 440만 명 → 2029년엔 약 876만 명 예상
– 재정 부담 증가: 현재 구조로는 연간 6조 원 이상 재정 소요
– 소득산정 방식 불공정: 고가 주택 보유자도 수급 가능한 사례 존재
❓ Q4. 수급 조건이 바뀌면 누구에게 영향이 있나요?
연금 수령 연령이 70세로 올라가고 소득 기준이 더 엄격해지면, 기존 65세 수급자 중 일부는 탈락할 수 있습니다.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가 본격적으로 수급 연령에 도달하면서 제도 부담이 커지는 것이 이유입니다.
예를 들어, 2025년 기준 1인 가구 중위소득은 약 239만원이며, 이를 초과하는 경우 수급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
❓ Q5. 기초연금 외 교통비 혜택도 바뀌나요?
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을 기존 65세에서 70세로 조정하고 있습니다.
– 대구시: 단계적으로 만 70세까지 상향
– 대전시: 70세 이상만 대중교통 무임 이용 가능
❓ Q6. 기초연금 40만 원 받으면 무조건 좋은 건가요?
연금액이 늘어난다고 무조건 수혜가 늘어나는 것은 아닙니다. 수급 대상 축소와 공제제도 정비로 인해, 오히려 기존 수급자 중 일부는 연금 수령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월 745만 원 연금+17억 원 부동산 보유자도 기초연금 수령이 가능하다는 점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.
📌 기초정리 – 향후 기초연금 이렇게 바뀔 수 있습니다
✔ 수급 연령: 65세 → 70세 상향 (2036년까지 단계적)
✔ 소득 기준: 하위 70% → 하위 40% 축소 검토
✔ 연금액: 34만 원 → 50만 원 확대 예정
✔ 정책 방향: ‘보편 지원’ → ‘저소득 집중 지원’으로 전환
제도가 바뀌기 전, 지금 내 상황에서 기초연금 수급 가능 여부를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 특히 수급 연령과 소득 조건이 변경되면 지원에서 제외될 수 있으니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